먼저 아래는 제가 자주 쓰는 방식입니다.

회원 로그인또는 게시물 삭제 같은거 할시 강제로 페이지를 되돌릴 때 사용합니다.

<script>window.alert('비밀번호가 맞지 않습니다');</script>


<meta http-equiv='refresh' content='0;url=test.php>

페이지를 되돌리는데는 주로 메타 태그를 쓰는데요.

요 메타 태그라는 놈이 꽤 재밌습니다. 설명하자면 꽤 길기에 일단 여기에 사용된 것만 설명하겠습니다.

보이시는데로 refresh로 사용하시되 content=0에서 0은 시간을 나타냅니다. 0이면 바로이동이지요.

그리고 URL은 아시다시피 원하는 페이지 경로 입니다. 저렇게 하면...비밀번호가 맞지 않습니다~ 라는 경고창이 뜬뒤 확인하면 바로 페이지가 이동합니다.

여기까지가 제가 자주쓰는 방식이구요. 아래는 다양한 방식입니다.

유용하니까 알아두면 도움 됩니다^^;

-----------------------------------------------------------------------

<input type="button" onclick="javascript:history.back()" value="뒤로">


<input type="button" onclick="javascript:history.forward()" value="앞으로">


<input type="button" onclick="javascript:history.go(-3)" value="3단계 뒤로">


<input type="button" onclick="javascript:history.go(0)" value="현제 페이지">


<input type="button" onclick="javascript:history.go(3)" value="3단계 앞으로">


window.location.reload(); 또는,

<a href="javascript:location.reload()">새로고침</a>

[출처] JavaScript를 이용한 페이지 이동및 새로고침.|작성자 놀라버라

특정시간 후 자동으로 페이지 이동 (HTML & javascript) 프로그래밍관련

2007/04/18 10:29

복사 http://blog.naver.com/gtime4u/36671112

1. HTML

<meta http-equiv="refresh" content="5;url=main.jsp?id=<%=변수명%>">

: meta 태그를 이용 ..

http-equiv 는 "refresh"로 하고,

content 는 "5(정수값-5초후);url=페이지 경로(위의 예제처럼 jsp나 asp 변수를 인자로 사용가능)"

2. javascript 를 이용하는 방법..

...

<body onload="javascript:window_onload()"> <!-- body에 onload를 이용, 페이지 load 후 스크립트 함수를 호출-->

...

<script language="javascript">

<!--

function window_onload(){

setTimeout('go_url()',5000) // 5초후 go_url() 함수를 호출한다.

}

function go_url(){

location.href="main.jsp?id=<%=id%>" // 페이지 이동...

}

-->

</script>

포인트 : setTimeout() 과 setInterval() 의 차이점

setTimeout(a,b)은 b초후에 a함수를 실행합니다. 이것은 1회만 실행하는거구요.
setInterval(a,b)는 b초마다 a함수를 실행합니다. 이것은 무한루프가 되는거지요,

[출처] 특정시간 후 자동으로 페이지 이동 (HTML & javascript)|작성자 gtime4u

javascript 로 페이지를 이동시키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그중에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아마도 location.href = "{페이지URL}" 이 아닌가 싶다.

이 방법 말고도 location.replace("{페이지URL}") 도 가능하다.

그럼 이 두녀석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한번 알아보자.

모든 답은 내가 항상 애용하는 MSDN 에 다 있다. 그럼 확인해 보자.

일단 href 속성에는 별 특별한 설명이 없다. ㅡ,.ㅡ... 단지 "Sets or retrieves the entire URL as a string." 라고만 나와있다. 머.. 설명할게 별로 없나보다. ㅎㅎㅎ

그럼 이번엔 replace() 이녀석을 한번 보자.

"When a document is replaced, it is also removed from the history object. Moreover, the user interface navigation methods, such as the Back and Forward buttons, will no longer access the URL." 이라고 설명 해 놨다.

요놈은 href 하고는 다르게 좀 특별하다.

replace 하게되면 history에서 사라진다(removed). 브라우져의 뒤로, 앞으로 버튼을 눌러도 그 페이지로는 안간다는 말이다. history 에서 그 페이지의 정보는 사라지니 말이다.

요놈은 권한체크나 보안쪽 관련해서 쓰면 유용할 듯 싶다.

http://hacking.egloos.com/tb/69622

location.href="main.jsp?id=<%=id%>" // 페이지 이동...

<input type="button" onclick="javascript:history.back()" value="뒤로">
<input type="button" onclick="javascript:history.forward()" value="앞으로">
<input type="button" onclick="javascript:history.go(-3)" value="3단계 뒤로">

location.replace("{페이지URL}") // history에서 정보가 사라진다. 보안관련 유리.

Posted by 백운성
,